기본적인 악기관리법;
1. Pegs(조리개)
Pegs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쉽게 미끄러지거나 잘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Pegs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간단한 소제가 필요하다. 보통 Peg을 뽑아 Steel Wool이나 고운 사포(Sandpaper#2000이상)로 문지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Peg이 꽂혀 있던 구멍을 Reamer라는 도구로 살짝 다듬어 주어야 할 때도 있다. 그리고 Pegs가 잘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Peg과 Peg hole이 닿는 부분에 잘 마른 비누(물기가 없는,Ivory같은 보통 비누)나 시중에서 구하실 수 있는 Peg dope를 바르시면 Peg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계속 발생하면 악기 수리를 전문으로 하는 곳에 상의하십시오. 때때로 Peg이 마르면서 모양이 변해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거나 Peg과 Peg hole이 맞지 않는 경우, Peg이 너무 많이 밀려 들어간 경우에는 새로운 Peg로 바꾸어 주어야 할 때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Peg hole을 다시 만들어 주는 수리(Peg Bushing)가 필요할 때도 있다. Peg가 움직이지 않을 때 너무 무리한 힘을 가하면 Peg Box가 깨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너무 무리한 힘은 가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2. String(현)
언제 현을 갈아주어야 하는가, 이것은 누구에게나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그것은 연주자가 얼마나 연주를 많이 하는 가에 달려 있다. 대부분의 현은 일반적인 경우(하루 2~3시간 정도의 연주)에 3~4개 월 마다 현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연습시간이 늘어나면 줄도 자주 갈아주어야 한다. 줄표면이 닳아서 반질거릴 경우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줄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이런 경우 현의 단면이 변형되어 진동이 불규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자의 느낌이다. 연주 후 현을 닦아주시는 걸 잊지 마시고 현을 갈아야 할 때는 모든 줄을 같이 갈아주시는 것이 좋다
3. Sound Post
이것은 Bridge와 마찬가지로 소리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음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Sound Post의 길이는 너무 길어도 안되고 너무 짧아서도 안됩니다. Sound Post의 양 끝은 악기 안쪽의 곡선과 일치해야 하며 깨끗하고 정확하게 세워야 한다. Sound Post는 계절에 따른 관리가 요구됩니다. Sound Post를 움직임으로 소리를 강하게 혹은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고 소리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Sound Post의 조절은 항상 전문적인 수리를 하는 곳에 가서 해야 악기의 상함을 막을 수 있다.
4. 지판 (Finger Board)
악기의 지판은 소리를 강하고 선명하게 하기 위해 약간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만약 지판이 너무 편평하여 Buzz(잡음)가 생기거나 연습으로 인해 지판 표면이 울퉁불퉁 해졌을 경우에는 지판을 깎아 다듬어 주어야 한다. 지판이 너무 파였을 경우 음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5. Bridge
이것은 악기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Bridge는 현의 높이를 결정하고 현과 악기를 연결시켜 소리를 조절한다. Bridge의 윗 곡선은 연주할 때 다른 줄을 건드리지 않도록 고른 모양을 하고 있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G선이 E선보다(Cello는 C선이 A선보다) 높고 Bridge의 발은 악기 표면에 정확하게 맞추어져야 한다. Bridge는 계속적인 튜닝에 의해 쉽게 지판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튜닝 후에는 꼭 Bridge의 위치를 확인하시고 제 위치로 조절하시면 Bridge의 휘어짐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Bridge의 현이 걸리는 홈을 연필심으로 칠하는 것도 Bridge의 휘어짐을 막는데 도움을 줍니다. Bridge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Violin은 앞 판 끝에서 19.5 cm, Cello는 40 cm (40-41.5)이고 양쪽 F-hole의 중앙에 위치한다.
6. 계절에 따른 변화
악기는 나무로 만들어 진 것이라 계절에 따라 쉽게 변할 수 있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습한 여름과 건조한 겨울을 가진 곳에서는 그 변화가 더욱 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는 Bridge의 높이, Sound Post의 길이, 지판의 높이 등의 변화와 악기를 붙였던 부분이 열릴 수 있다. 악기는 될 수 있으면 항상 같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시고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 차 안에 악기를 두고 내리시지 않는 것이 좋다. 악기를 붙였던 부분이 열렸을 경우(주로 앞 판과 옆 판 사이)에는 가능한 빨리 붙여주는 것이 좋다.
7. 악기의 갈라짐 (Crack)
악기의 갈라짐은 주로 심한 나무의 변화나 습도와 온도의 변화, 또는 충격에 의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기의 갈라짐은 올바른 방법으로 수리하시면 악기의 소리에 영향을 끼치지 않다. 악기가 갈라진 경우에는 현을 느슨하게 하시고 전문적으로 악기를 수리하는 곳에 맡기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갈라진 부분은 될 수 있으면 깨끗하게 원 상태대로 만약 조각이 떨어졌다면 그 조각도 함께 가져 가시면 악기를 원래의 상태로 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8. 평소 악기 관리법
하나: 현악기는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라, 온도와 습도 관리가 제일 중요 한데요.
17-22도의 온도와 50-60%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 장마철에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바이올린 케이스에 제습제나 물먹는 하마를 넣어 주거나 댐핏(Dampit)을 사용하여 습도 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악기가 습기를 먹게 되면 줄감개(Peg) 뻑뻑해 져서 힘을 줘서 무리하게 돌리게 되면 부러지기 거나 Pge Box에 크렉이 생김니다)
셋: 브릿지(Bridge) 는 휘지 않도록 확인 해야 함니다.
(만약의 브릿지가 휠 경우 새것으로 교환 하고나 손으로 세워 주세요)
넷: 악기 연습을 하고 난 후에는 악기에 붙어 있는 송진을 깨끗이 닦아 주시고 활은 한두 번 왼쪽을 돌려 털을 조금 느슨하게 해 주시고 꼭 악기 케이스에 악기를 넣 어 주는 게 가장 쉬운 악기 관리법이며 가장 중요한 관리비법은 가까운 샵에 가셔서 정기적은 첵업을 해 주시는 겁니다.
****** 절대 !!! 자동차 트렁크에는 악기를 보관하지 마세요. ******
(높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 인해 악기가 변형이 생기거나 파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egs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쉽게 미끄러지거나 잘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Pegs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간단한 소제가 필요하다. 보통 Peg을 뽑아 Steel Wool이나 고운 사포(Sandpaper#2000이상)로 문지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Peg이 꽂혀 있던 구멍을 Reamer라는 도구로 살짝 다듬어 주어야 할 때도 있다. 그리고 Pegs가 잘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Peg과 Peg hole이 닿는 부분에 잘 마른 비누(물기가 없는,Ivory같은 보통 비누)나 시중에서 구하실 수 있는 Peg dope를 바르시면 Peg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계속 발생하면 악기 수리를 전문으로 하는 곳에 상의하십시오. 때때로 Peg이 마르면서 모양이 변해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거나 Peg과 Peg hole이 맞지 않는 경우, Peg이 너무 많이 밀려 들어간 경우에는 새로운 Peg로 바꾸어 주어야 할 때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Peg hole을 다시 만들어 주는 수리(Peg Bushing)가 필요할 때도 있다. Peg가 움직이지 않을 때 너무 무리한 힘을 가하면 Peg Box가 깨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너무 무리한 힘은 가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2. String(현)
언제 현을 갈아주어야 하는가, 이것은 누구에게나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그것은 연주자가 얼마나 연주를 많이 하는 가에 달려 있다. 대부분의 현은 일반적인 경우(하루 2~3시간 정도의 연주)에 3~4개 월 마다 현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연습시간이 늘어나면 줄도 자주 갈아주어야 한다. 줄표면이 닳아서 반질거릴 경우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줄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이런 경우 현의 단면이 변형되어 진동이 불규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자의 느낌이다. 연주 후 현을 닦아주시는 걸 잊지 마시고 현을 갈아야 할 때는 모든 줄을 같이 갈아주시는 것이 좋다
3. Sound Post
이것은 Bridge와 마찬가지로 소리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음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Sound Post의 길이는 너무 길어도 안되고 너무 짧아서도 안됩니다. Sound Post의 양 끝은 악기 안쪽의 곡선과 일치해야 하며 깨끗하고 정확하게 세워야 한다. Sound Post는 계절에 따른 관리가 요구됩니다. Sound Post를 움직임으로 소리를 강하게 혹은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고 소리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Sound Post의 조절은 항상 전문적인 수리를 하는 곳에 가서 해야 악기의 상함을 막을 수 있다.
4. 지판 (Finger Board)
악기의 지판은 소리를 강하고 선명하게 하기 위해 약간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만약 지판이 너무 편평하여 Buzz(잡음)가 생기거나 연습으로 인해 지판 표면이 울퉁불퉁 해졌을 경우에는 지판을 깎아 다듬어 주어야 한다. 지판이 너무 파였을 경우 음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5. Bridge
이것은 악기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Bridge는 현의 높이를 결정하고 현과 악기를 연결시켜 소리를 조절한다. Bridge의 윗 곡선은 연주할 때 다른 줄을 건드리지 않도록 고른 모양을 하고 있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G선이 E선보다(Cello는 C선이 A선보다) 높고 Bridge의 발은 악기 표면에 정확하게 맞추어져야 한다. Bridge는 계속적인 튜닝에 의해 쉽게 지판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튜닝 후에는 꼭 Bridge의 위치를 확인하시고 제 위치로 조절하시면 Bridge의 휘어짐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Bridge의 현이 걸리는 홈을 연필심으로 칠하는 것도 Bridge의 휘어짐을 막는데 도움을 줍니다. Bridge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Violin은 앞 판 끝에서 19.5 cm, Cello는 40 cm (40-41.5)이고 양쪽 F-hole의 중앙에 위치한다.
6. 계절에 따른 변화
악기는 나무로 만들어 진 것이라 계절에 따라 쉽게 변할 수 있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습한 여름과 건조한 겨울을 가진 곳에서는 그 변화가 더욱 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는 Bridge의 높이, Sound Post의 길이, 지판의 높이 등의 변화와 악기를 붙였던 부분이 열릴 수 있다. 악기는 될 수 있으면 항상 같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시고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 차 안에 악기를 두고 내리시지 않는 것이 좋다. 악기를 붙였던 부분이 열렸을 경우(주로 앞 판과 옆 판 사이)에는 가능한 빨리 붙여주는 것이 좋다.
7. 악기의 갈라짐 (Crack)
악기의 갈라짐은 주로 심한 나무의 변화나 습도와 온도의 변화, 또는 충격에 의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기의 갈라짐은 올바른 방법으로 수리하시면 악기의 소리에 영향을 끼치지 않다. 악기가 갈라진 경우에는 현을 느슨하게 하시고 전문적으로 악기를 수리하는 곳에 맡기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갈라진 부분은 될 수 있으면 깨끗하게 원 상태대로 만약 조각이 떨어졌다면 그 조각도 함께 가져 가시면 악기를 원래의 상태로 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8. 평소 악기 관리법
하나: 현악기는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라, 온도와 습도 관리가 제일 중요 한데요.
17-22도의 온도와 50-60%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 장마철에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바이올린 케이스에 제습제나 물먹는 하마를 넣어 주거나 댐핏(Dampit)을 사용하여 습도 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악기가 습기를 먹게 되면 줄감개(Peg) 뻑뻑해 져서 힘을 줘서 무리하게 돌리게 되면 부러지기 거나 Pge Box에 크렉이 생김니다)
셋: 브릿지(Bridge) 는 휘지 않도록 확인 해야 함니다.
(만약의 브릿지가 휠 경우 새것으로 교환 하고나 손으로 세워 주세요)
넷: 악기 연습을 하고 난 후에는 악기에 붙어 있는 송진을 깨끗이 닦아 주시고 활은 한두 번 왼쪽을 돌려 털을 조금 느슨하게 해 주시고 꼭 악기 케이스에 악기를 넣 어 주는 게 가장 쉬운 악기 관리법이며 가장 중요한 관리비법은 가까운 샵에 가셔서 정기적은 첵업을 해 주시는 겁니다.
****** 절대 !!! 자동차 트렁크에는 악기를 보관하지 마세요. ******
(높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 인해 악기가 변형이 생기거나 파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